노형래 칼럼 인천환경교육네트워크 출범에 거는 기대.
최근 환경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을 제정하고, 지난해 국가환경교육센터도 건립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예산과 지원 체계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환경 교육 지원 시스템이 걸음마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의미다.
글로벌 환경 도시를 꿈꾸는 인천에서도 관련 조례가 제정되는 등 환경 교육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환경 교육의 범위는 크게 학교 환경 교육과 사회 환경 교육으로 나뉜다. 환경을 개선할 의무가 있는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환경 교육 분야가 환경교육진흥법과 관련 조례에 빠진 것이 아쉽지만 곧 보완되리다 보인다. 환경부가 법 까지 만들어 환경 교육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만들고 있지만, 중심 분야인 학교 환경 교육은 방과후 활동과 동아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사회 환경 교육도 환경 단체를 중심으로 간헐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 지역 20여개 환경 관련 시민 사회 단체들이 '인천환경교육네트워크'를 결성해 환경 교육 활성화 운동에 나서기로 해 기대가 크다. 인천환경교육네트워크에는 사단법인 녹색환경협의회, 인천의제21실천협의회, 인천환경운동연합, 인천녹색연합, (사)글로벌녹색경영연구원,인천YWCA 등 20여개 단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 단체는 환경교육네크워크를 통해 환경 교육 인프라 공유와 공동 사업 진행, 물적, 인적 교류에 나설 계획이다. 또 시가 추진 중인 환경교육 정책 방향 설정과 인천환경교육센터 건립 사업에서 자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네트워크는 5월31일 환경의날에 맞춰 공식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 환경 교육 활성화 운동은 민간 차원에서 뿐 아니라 인천시도 적극 동참할 예정이다. 시는 2014년을 '글로벌 환경 교육 선진 도시' 만들기 원년으로 정하고 다양한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인천에는 세계 최대 쓰레기 매립장과 소각장의 혐오 시설부터 천연기념물급 갯벌과 희귀 조류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쓰레기 처리 체험장부터 생태 체험장'까지 갖춘 국내 최대 환경 교육장이 바로 인천이라는 얘기다. 시는 환경 교육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인프라를 조사해 인천환경교육센터 설립과 운영에 반영할 방침이다. 사업 예산 부족과 다양한 어려운 현실적 문제가 있지만, 시와 인천환경교육네트워크가 인천을 '글로벌 환경 교육 도시'로 만들어 주길 간절히 바란다. |